멩게 (청미래덩쿨의 제주방언)
멩게나무 는 아직도 많이 볼 수가 있다.
특히 고사리 철 때가 되면 멩게나무 근처에서 많이 꺽곤 했다.
새순이 통통하게 올라오는 것 을 꺽어 데우쳐 먹기도 했고
그냥 껍질 벗겨 먹기도 했다.
특히 빨간 열매는 먹기도 하지만 이쁘다.
파랗게 열매가 달릴 때는 많이 보이지만
빨갛게 익어 갈 때면 별로 많이 보이지 않는다.
익어 떨어지고, 장식용으로 많이 꺽어 가기도 하고
새들의 양식이 되는지 열매달린 줄기를 많이 찾아 볼 수가 없다.
줄기가 매끈한 것이 산속에서 안심하고 젓가락 대용으로 쓸 수 있고
마른 줄기는 불소시기에 아주 화력이 좋아 예전 많이 사용해 보았다.
가시덤풀 사이 빨갛게 멩게 열매가 보인다.
비에 젖어 그런지 탐스럽다.
셔터를 누르는 중에도 참 이쁘고 탐스럽다는 생각이 든다.
예전 덜 익은 열매를 많이 씹어보곤 했다.
역시 시큼하면서도 멩게의 향을 느꼈던 기억이 있다.
빨갛게 익으면 속이 비어있듯 별로 맛을 느끼지 못한다.
빨간 열매 입속에 넣어 그 맛을 음미해 본다.
아직은 멩게의 향을 느낄 수 있다.
산길에는 아직 느낄 것들이 많다.
또 다시 어린시절 먹었던 열매를 찾아간다.
2010.11.10
백합과(百合科 Liliaceae)에 속하는 덩굴 낙엽관목.
줄기에 갈고리 같은 가시가 있다. 윤기가 있는 넓은 타원형의 잎은 길이 3~12㎝, 너비 2~10㎝로 어긋나는데 끝이 갑자기 뾰족해지고, 밑이 둥글거나 심장 모양이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고, 잎맥은 밑부분에서 5~7개가 나오면 다시 그문맥이 된다. 잎자루는 7~20㎜이고 턱잎[托葉]은 덩굴손이 된다. 황록색의 꽃은 5월 무렵 암꽃과 수꽃이 각각 다른 그루에서 산형꽃차례를 이루며 핀다. 붉은색의 둥근 열매는 9~10월경 지름이 1㎝ 정도로 익는다.
한국에는 청미래덩굴속(─屬 Smilax)에 4종(種)이 있는데 청가시덩굴(S. sieboldii)은 녹색 줄기에 검은색의 곧은 가시가 나고 열매가 흑색으로 익고, 선밀나물(S. nip-ponica)·밀나물(S. riparia var. ussuriensis)은 초본성이다. 관 상용으로 적합하며, 줄기는 공예품의 재료로 쓰인다. 뿌리는 매독·임질 치료 및 소화제로 쓰고 열매는 하리(下痢)의 약재로 쓴다.
'제주풍경 이야기 > 사진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가시나무 열매 (후까시나무 ?) 를 먹으며.. (0) | 2010.11.10 |
---|---|
찔레나무 열매(영실) 를 따 먹으며.. (0) | 2010.11.10 |
볼레 열매 먹으며 옜시절로 가본다. (0) | 2010.11.10 |
수악교에서. (0) | 2010.11.06 |
사려니숲길 근처에서.. (0) | 2010.11.06 |